728x90
반응형

 

지금 일하고 있는 회사에서 파일공유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개인적으로는 카카오톡 서랍플러스,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마이박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 중 네이버마이박스는 별도의 추가요금제 없이 기본용량만 사용하고 있고 구글드라이브와 카카오톡서랍플러스는 최소한의 요금제만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대부분의 기업들이 클라우드 사용이 많아지고 있으며 협업을 위한 다양한 플랫폼을 사용 중에 있다. 지금의 회사는 클라우드 이용을 하지 않고 있고 프로젝트에 따라 구글메일을 새로 계설해서  드라이브를 임시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대표님의 지시에 따라 클라우드 플랫폼 조사업무를 하게 되었고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중 위의 3가지 서비스로 후보가 압축이되었다. 간단한 분석이지만 업무용 클라우드 플랫폼을 도입하는 걸 고민하는 분들에게 좋은 자료가 되면 좋을 것 같아서 공유한다.

 

 

1. 네이버 웍스

01
네이버웍스 _ 연간 계약/월간 계약 시, 월 요금

 

첫번째 클라우드 서비스는 네이버웍스이다. 개인 사용자에게는 네이버 마이박스로 알려져있다. 토종 플랫폼인 네이버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여러보모 가성비가 있으며 개인적으로 네이버 웨일, 네이버 메모, 네이버 메일 등 네이버 플랫폼을 많이 이용하고 있어서 더욱 친근하다. 물론, 업무용 서비스라는 점에서 네이버 웍스에 대한 이질감은 있지만 이미 사내에서 검증을 받은 서비스라는 점에서는 믿음이 간다.

 

요금제는 총 4가지로 구성되어 있는데 흔히들 말하는 클라우드 서비스인 '드라이브'만 별도로 서비스하고 있지는 않고 메일, 메신저, 드라이브 등 서비스들이 하나로 묶어져 있다. 이 점은 일부 사용자들에게 아쉬운 점이긴 하다. 조금 더 가성비 있는 서비스가 나온다면 좋을 것 같다. 

 

 'Basic' 서비스를 선택할 경우, 공용 용량이 1TB가 제공된다. 구성원 수는 제한이 없으며 메일용량 개인당 30GB, 드라이브는 인당 30GB가 개별로 제공된다. 왠지 1TB의 공용 용량이 부족하다면 'Premium' 요금제를 추천한다. 'Premium' 요금제의 경우, 공용용량이 10TB가 제공되며 메일은 무제한, 드라이브는 인당 1TB가 추가 제공된다. Basic과 비교해서 비용이 67%가 더 비싸긴 하지만 공용용량이 10TB라 든든해보인다. 물론, 구성원 수가 많아지면 이것도 작아보일 수는 있다.

 

위의 조건은 모두 연간계약일 경우이며 월간계약으로 변경하면 비용이 조금 상승한다.

 

 

2. 구글 워크스페이스

01
구글 워크플레이스 요금제

 

두번째 클라우드 서비스는 워크스페이스이다. 개인 사용자에게는 구글드라이브이며 전세계적인 서비스인 구글의 비즈니스 서비스여서 별다른 설명이 필요없다. 요금제는 3가지로 나누어져있다. 네이버웍스와 비교해서 비용은 조금 높아진다. 비즈니스 스탠다드의 경우에는 사용자당 2TB를 제공하며 비즈니스 플러스의 경우에는 인당 5TB를 제공한다. 비용은 네이버 웍스에 비해 높지만 구글 메일을 자주 이용하며 구글의 다른 서비스를 협업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기업에게는 추천한다.

 

 

3. 드롭박스

01
드롭박스의 클라우드 요금제

 

세번째 클라우드 서비스는 드롭박스이다. 드롭박스엔 기본적으로 4가지 요금제를 소개하고 있지만 저장 공간, 파일 공유에 특화된 요금제가 숨어있다. '드롭박스 요금제' 페이지 상단에 '더 많은 저장 공간이 필요하신가요? 요금제 보기'를 클릭하면 위의 이미지에 소개된 요금제를 볼 수 있다. 총 3가지 요금제를 소개하고 있는데 프로페셔널의 경우 공용용량이 3TB이고 스탠다드는 팀 용량 5TB, 어드밴스드의 경우 팀 용량이 15TB이며 인당 5TB를 제공한다. 어드밴스드의 경우, 회사를 위한 요금제라고 표시하고 있는데 최대 100GB의 대용량 파일을 한번에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1년간 삭제된 파일 복원이 가능하다는 점이 차별화된 점이라 할 수 있다.

 

 

오늘은 업무용클라우드 서비스 네이버웍스, 구글워크스페이스, 드롭박스 총 3가지를 비교해보았습니다. 회사의 특성과 상황을 고려해서 회사나 혹은 개인의 상황에 맞게 클라우스 서비스를 사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는 참고하실만한 자료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작지만 업무에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참고자료 및 링크]

1. 업무용클라우드 비교

: 직접 만든 자료입니다.

https://www.miricanvas.com/v/12pd9bq

 

업무용클라우드 비교

디자인 전문가가 아니어도 무료 템플릿으로 손쉽게 원하는 디자인을 할 수 있어요.

www.miricanvas.com

 

2. 네이버웍스 

https://naver.worksmobile.com/

 

네이버웍스 (NAVER WORKS)

글로벌 47만 기업의 선택, 네이버가 만든 올인원 협업툴. 메신저, 메일, 캘린더, 드라이브, 주소록 등 필수 업무 기능 제공.

naver.worksmobile.com

 

3. 네이버웍스 소개문서

https://drive.google.com/file/d/1EybHhWR8IbZDIaNAhCl-KNPXZ3fhshOb/view?usp=drive_link

 

4. 구글드라이브

https://www.google.com/intl/ko_KR/drive/

 

개인용 클라우드 스토리지 및 파일 공유 플랫폼 - Google

다른 사용자와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도록 안전한 개인용 클라우드 스토리지 옵션이 제공되는 Google Drive의 파일 공유 플랫폼에 대해 알아보세요.

www.google.com

 

5. 드롭박스 

https://www.dropbox.com/plans/storage

 

6. 메일플러그 소개문서

: 현재 저희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메일 서비스입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hZ0T8w_g-DWsSAWUP2oE4rt5ADB8k0nU/view?usp=drive_link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무더위가 전국을 뒤덮어야 할 여름이지만 전국이 비로 태풍으로 난리가 났습니다. 하지만 제주도에는 해외여행을 나가야 될 사람들로 인산인해라고 합니다. 심지어 저희 아이들이 다니는 어린이집에서는 제주도에 다녀오면 2주 자가격리하라고 얘기하더군요. 그만큼 코로나19로 인해 사람들이 조심하고는 있지만 그만큼 나가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거겠죠. 저도 지난 주에 평창과 고성에 휴가를 다녀왔습니다. 걱정은 했지만 생각보다는 괜찮았던 것 같습니다. 대신 비가 주륵주륵 내리다보니 리조트에서 시간을 보내는 일이 더 많았습니다.

 

오늘 소개할 콘텐츠는 바로 <여행> 과 관련된 콘텐츠입니다. 여행 중에서도 제주여행과 관련된 콘텐츠인데요. SNS 콘텐츠와 관련된 부분이어서 많은 분들이 쉽게 응모하실 수 있으실 것 같아요.

 

주목할 만한 부분

1. 제주도와 관련된 콘텐츠를 등록하기만 하는 아주 쉬운 응모방법

2. 공모 자격이 조금 높다는 단점 (최소 1,000명 이상 되어야 하는군요.ㅎㅎㅎ)

3. 수상자의 경우, 페스티벌 참석 비용을 제공받는다고 합니다! 유후~

 

이러한 3가지 조건을 보시고 나서 충분히 나는 자격이 된다라고 생각이 되신다면 응모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는 제 인스타,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유튜브 모두 자격이 안되어서 다음으로 미뤄야 할 것 같습니다.

 

 

응모방법은 이렇다고 합니다.

 

응모형식은 이렇다고 합니다.

 

 

신청방법은 이렇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이벤터스에서는 진행되는 와디즈 온라인 컨퍼런스에 참여해봤습니다.

 

주제: 당신이 놓치고 있는 '진짜' 비즈니스 이야기

부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누구보다 잘 준비하는 법

2020년 7월 30일 15시~18시 / 온라인 라이브

 

 

 

와디즈를 떠올리면 아주 슬픈 사연이 하나 있습니다.

친하게 지내는 한 분이 와디즈에 프로젝트를 런칭했다고 연락이 왔습니다.

향기나는 금속이라는 새로운 제품이었고 신선해서 기대를 했는데요.

프로젝트는 성공적으로 런칭했는데, 제품배송 과정에서 문제가 많았나봐요.

그래서 현재는 연락을 되지 않고 있는데 잘 되길 바래봐야죠.

 

 

포스트 코로나 시대, 누구보다 잘 준비하는 법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2020년 정말 누구도 예측하지 못했던 위기, 코로나19의 위기를 지나서 새로운 기회를 잡으려면

어떻게 미래를 준비해야 할지 창업가의 관점에서 이야기하는 자리였습니다.

 

 

 

 

행사는 주중에 진행되었는데 참가비는 1만원이지만, 와디즈 회원이시면 무료였습니다.

저는 아시는 대표님 덕분에 미리 가입이 되어있어서 무료로 관람을 했습니다.

 

 

 

 

와디즈 온라인 컨퍼런스에서는 사업가, 대표님들이 이야기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사업 실현 과정까지 이야기를 해 준다고 합니다.

동시에 네트워킹을 통해서 같은 고민을 나누는 자리를 마련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네트워킹 부분은 사실 들어가보니 진행이 어려운 것 같습니다.

서로 얼굴을 보는 것도 아니니 인사를 하기도 애매하니까요~^^

 

 

총 5개의 세션에서 현업에서 일하고 계시는 분들이 직접 나와서 이야기를 해주었습니다.

공유주방 위쿡부터 이랜드월드, 불스원 밸러스온, 크리메이커, 텐덤이란느 기업까지 다양한 기업의 관계자들이

나오셔서 사업과 관련된 치열한 고민들을 나누어주었습니다.

 

 

 

행사구성은 아래와 같이 총 2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습니다.

1부에서는 진짜 사업가의 진짜 비즈니스 이야기란 주제로 창업을 하고 계신 분들의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2부에서는 진짜 아이디어를 실행에 옮기는 법이란 주제로 와디즈에서 어떻게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지를 

알려주었습니다.

 

 

 

이 컨퍼런스에서는 다양한 혜택도 준비해주었는데요.

시청인증자 대상으로 SNS 해시태그 이벤트도 진행했습니다. 저도 물론 참여했습니다.ㅎㅎ

 

 

 

이벤터스라는 플랫폼도 개인적으로 단기간에 성공한 플랫폼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웨비나라는 변화에 빠르게 반영해서 기술개발을 한 것 같아서 보기 좋더라구요.

오늘 행사도 이벤터스의 웨비나 시스템을 통해서 진행했습니다.

오른쪽 화면에서는 출석체크와 동시에 질문하기, 네트워킹, 설문조사, 첨부자료, 공지사항 등의 버튼이 있어서

컨퍼런스 참여자들이 단순하게 컨퍼런스를 참여하 것 뿐 아니라 소통할 수 있는 채널을 만들어놓았습니다.

이벤터스는 다양한 옵션을 통해서 실시간 퀴즈, 골든벨 등을 진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오늘 행사에 대한 총평]

사실 오늘 행사는 1부 세션은 못 들었고 2부 세션 후반부만 참여했습니다.

1부 세션을 통해서 진짜 창업가들의 이야기를 듣지 못해서 조금 아쉬웠습니다.

개인적으로 창업 아이템이 있는데 그 아이템을 가지고 어떻게 와디즈를 활용할 수 있을지 고민하게 되었고

조만간 저도 와디즈를 통해서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해커톤이 궁금하다면 이 영상 지금 보세요!

코딩 소프트웨어 시대 - 24시간 해커톤






저는 워낙 대학생 관련 일들을 많이 하다보니 최근에 자주 듣는 용어가 있어서 공유드립니다.

오늘은 해커톤과 메이커톤에 대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사실 이 영상 하나면 설명이 됩니다만~

그래도 제가 생각한 내용도 첨부해드려고 해요.


해커톤이란?

해커 + 마라톤의 합성어로 기본적으로 소프트웨어 관련 프로젝트의 이벤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신규 서비스나 신규 소프트웨어가 나오기 위해서는 장기간이 걸리는데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페이스북의 좋아요가 같은 기능도 소프트웨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런 기능이나 어떤 서비스일 수도 있고 그런 하나의 목표를 위해 작업을 하는 이벤트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이벤트는 보통 프로그래머나 그래픽 디자이너,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자, 프로젝트 매니저 등이 참여합니다. 




메이커톤이란?

메이커 + 마라톤의 합성어로 해커톤의 업그레이드 개념이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디자이너, 엔지니어, 개발자, 기획자 등 다양한 분야의 메이커들이 팀을 이루어서

아이디네이션, 프로토타입까지 진행하는 메이킹 마라톤이라고 합니다.






해커톤과 메이커톤에 대해서 더 궁금하시다면

덧글을 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